상태 state 패턴 - 타입스크립트 예시

SW설계
읽는데 5분 소요
처음 쓰여진 날: 2025-09-01
마지막 수정일: 2025-09-01

요약

상태 state 패턴을 타입스크립트 코드와 함께 알아봅니다.

상태 (State) 패턴 요약

패턴 종류핵심 키워드
상태 (State)객체의 내부 상태가 변경될 때, 객체의 행동 방식도 함께 변경, 상태 변경, 행동 변경
상태 패턴 감자
상태 패턴 감자

상태 (State) 패턴

상태 패턴은 객체의 내부 상태가 변경될 때, 객체의 행동 방식도 함께 변경되도록 하는 패턴입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면, 객체는 마치 자신의 클래스가 바뀌는 것처럼 보입니다. if/elseswitch 문으로 가득 찬 상태 관리 코드를,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클래스로 분리하여 훨씬 깔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신호등' 을 생각하면 쉽습니다. 신호등은 '초록불', '주황불', '빨간불'이라는 상태를 가집니다. 각 상태일 때 신호등의 행동(다음 상태로 변경되는 것)은 완전히 다릅니다. 초록불일 때는 주황불로, 주황불일 때는 빨간불로, 빨간불일 때는 초록불로 바뀝니다. 상태 패턴은 이처럼 상태에 따른 행동들을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하고, 상태가 변할 때 행동을 책임질 클래스 자체를 교체해버리는 방식입니다.

기본 구조

  • Context: 상태를 가지는 주체입니다.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State 객체에 대한 참조를 가집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현재 State 객체에게 행동을 위임합니다. 또한, 상태 객체가 Context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setState()와 같은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 State: 모든 구체적인 상태 클래스들이 구현해야 할 공통 인터페이스입니다. Context가 위임할 행동들을 메서드로 정의합니다. (예: handle())
  • ConcreteState: Stat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클래스입니다. 특정 상태일 때의 행동을 구현하며, 필요에 따라 Context의 다음 상태를 결정하고 변경합니다.

예시: 온라인 문서의 게시 워크플로우

'초안(Draft)' -> '검토 중(Moderation)' -> '게시됨(Published)' 상태를 가지는 온라인 문서 객체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모든 상태가 따라야 할 DocumentState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typescript
// State 인터페이스
interface DocumentState {
  publish(): void;
}

다음으로, 상태를 가질 Context 객체인 Document 클래스를 만듭니다.

typescript
// Context: 상태를 가지는 문서 객체
class Document {
  private state: DocumentState;

  constructor() {
    // 초기 상태는 '초안'
    this.state = new DraftState(this);
  }

  // 상태 변경을 위한 메서드
  changeState(state: DocumentState): void {
    this.state = state;
  }

  // 현재 상태에 행동을 위임
  publish(): void {
    this.state.publish();
  }
}

이제 각 상태에 대한 행동을 정의하는 ConcreteState 클래스들을 만듭니다.

typescript
// ConcreteState 1: 초안 상태
class DraftState implements DocumentState {
  constructor(private document: Document) {}

  publish(): void {
    console.log("[초안] -> [검토 중]으로 상태를 변경합니다.");
    this.document.changeState(new ModerationState(this.document));
  }
}

// ConcreteState 2: 검토 중 상태
class ModerationState implements DocumentState {
  constructor(private document: Document) {}

  publish(): void {
    console.log(
      "[검토 중] -> [게시됨]으로 상태를 변경합니다. 이제 글이 공개됩니다!"
    );
    this.document.changeState(new PublishedState(this.document));
  }
}

// ConcreteState 3: 게시됨 상태
class PublishedState implements DocumentState {
  constructor(private document: Document) {}

  publish(): void {
    console.log("[게시됨] 이미 게시된 상태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 상태 변경 없음
  }
}

클라이언트 코드는 Document 객체의 publish() 메서드만 호출하면 됩니다.

typescript
// 클라이언트 코드
const myDocument = new Document();

console.log("--- 1. 초안 상태에서 게시 시도 ---");
myDocument.publish(); // 초안 -> 검토 중

console.log("\n--- 2. 검토 중 상태에서 게시 시도 ---");
myDocument.publish(); // 검토 중 -> 게시됨

console.log("\n--- 3. 게시된 상태에서 게시 시도 ---");
myDocument.publish(); //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Document 클래스 안에는 if (state === 'draft') { ... } else if (state === 'moderation') { ... } 와 같은 조건문이 전혀 없습니다. 모든 상태 관련 로직은 각각의 State 클래스에 위임되었습니다. 만약 '반려됨(Rejected)'이라는 새로운 상태가 필요하다면, RejectedState 클래스를 만들어 추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개방-폐쇄 원칙(OCP)'을 잘 따릅니다.

상태 패턴 중요 키워드

  • 상태에 따른 행동을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합니다.
  • 객체가 내부 상태에 따라 행동을 바꾸도록 합니다. (마치 클래스가 바뀌는 것처럼)
  • 복잡한 if/else 또는 switch 문으로 된 상태 머신 코드를 정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상태 전환의 책임이 Context가 아닌 개별 State 클래스에 있어 규칙이 명확해집니다.
문제
객체의 내부 상태가 변경될 때 객체의 행동 방식도 함께 변경되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태에 따른 행동을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하여 복잡한 if/else나 switch 문으로 된 상태 머신 코드를 정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디자인 패턴은?
보기
답변
정답정답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