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신기술(애드혹, SDN, MQTT, MEC, NFV)
요약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 출제되는 주요 네트워크 신기술(Wi-SUN, NFC, 블루투스, SDN, NFV, MEC, IoT, MQTT, 지그비 등)을 총정리하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출제 의도를 분석합니다.
주요 용어 표
용어 | 키워드 |
---|---|
MQTT | 발행/구독 모델, 경량 메시징 프로토콜, IoT 표준, IBM 개발, 브로커 |
SDN | 제어부/데이터부 분리, 중앙 집중 제어, 프로그래머블, OpenFlow |
NFV |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범용 하드웨어, 비용 절감, 소프트웨어화 |
스마트 그리드 | 지능형 전력망, 양방향 통신, 에너지 효율화, AMI, 원격 검침 |
IoT | 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 수집/처리/제어, 컴퓨터 칩 내장 |
Wi-SUN | IEEE802.15.4g, 900MHz 대역, 스마트 그리드, HAN/NAN, 원격 검침 |
AllJoyn | IoT 디바이스 상호작용, 퀄컴 개발, 오픈소스, 서로 다른 제조업체 |
비컨(Beacon) | BLE 기반, 70m 통신, 모바일 결제, 위치 인식, 5~10cm 구별 |
Zing | NFC 기반, 키오스크, 기가급 속도, 초고속 근접 통신, 10cm 이내 |
애드 혹 네트워크 | 인프라 없는 통신, 자율적 네트워크 구성, 중앙 제어 장치 없음 |
💡 네트워크 신기술은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서 의외로 꾸준히 출제되는 중요한 파트입니다. '애드 혹 네트워크'가 2회 출제되었는데 그 이유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왜 정처기 실기 시험에 '애드 혹 네트워크'가 출제되었을까?
최신 기술이 쏟아지는 가운데, 다소 오래되어 보이는 '애드 혹 네트워크(Ad-hoc Network)'가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 출제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애드 혹 네트워크가 현대 무선 통신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 인프라 없는 통신: 중앙 제어 장치(AP, 기지국 등) 없이 단말기끼리 직접 통신하며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 현대 기술의 기반: 이 원리는 IoT,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V2X(차량-사물 통신), 재난 통신망 등 수많은 최신 기술에 그대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수많은 IoT 센서들이 서로 통신하며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차량들이 서로의 위치와 상태를 공유하는 것이 모두 애드 혹 네트워크의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결론적으로, 출제자는 단순히 최신 유행 기술을 묻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들을 이해하는 데 바탕이 되는 근본적인 원리를 수험생이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 것입니다.
❗️ 애드 혹 네트워크는 필기에서 여러번 출제되었고 이후 실기에서 2회 출제되었습니다.
차세대 기술을 이끄는 3가지 근본 원리
애드 혹 네트워크가 다른 기술의 '뿌리'가 되는 것처럼, 현재 네트워크 기술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핵심적인 원리들이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시험에서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다른 신기술을 이해하는 기반이 됩니다.
⭐️ : 필기 출제 되었던 개념
기술 | 핵심 원리 | 이 기술이 기반이 되는 것들 |
---|---|---|
⭐️SDN / 🔥NFV | 분리: 제어/데이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리 | 네트워크 슬라이싱,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5G 코어망 |
⭐️MQTT | 비동기 메시징: 발행자와 구독자를 브로커로 분리 | 대부분의 IoT 플랫폼, 실시간 채팅 앱, 마이크로서비스 |
🔥MEC | 분산화: 데이터 처리를 중앙에서 엣지로 이동 | 5G 초저지연 서비스 (자율주행, AR/VR), 실시간 AI 분석 |
SDN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NFV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분리(Decoupling)'를 통해 네트워크를 중앙에서 프로그래밍하고 자동화합니다.
- 개념:
- SDN: 네트워크의 '뇌(제어부)' 와 '근육(데이터부)' 을 분리합니다. 중앙 컨트롤러가 모든 것을 지시하고, 네트워크 장비는 그저 명령대로 데이터를 전달만 하는 방식입니다.
- NFV: 네트워크 장비의 '소프트웨어 기능' 을 '하드웨어' 로부터 분리합니다. 비싼 전용 장비 대신, 일반 서버에 방화벽, 라우터 등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설치해서 쓰는 개념입니다.
- 왜 근본적인가?: 이 '분리' 개념 덕분에 네트워크 전체를 프로그래밍하고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5G 코어망,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같은 현대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 기반입니다.
SDN
- 핵심 특징: 제어부(Control Plane)와 데이터부(Data Plane)의 분리. 중앙의 SDN 컨트롤러가 네트워크 전체를 조망하며,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장비들은 컨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하고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와 자동화를 위해 널리 도입되었습니다.
NFV
- 핵심 특징: 네트워크 장비의 '소프트웨어 기능' 을 '하드웨어' 로부터 분리합니다. 비싼 전용 장비 대신, 일반 서버에 방화벽, 라우터 등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설치해서 쓰는 개념입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와 자동화를 위해 널리 도입되었습니다.
MQTT
'발행/구독(Publish/Subscribe)' 모델로 1:N 비동기 통신을 구현합니다.
- 개념: 중간에 '우체국(브로커)'을 둡니다. 데이터를 보내는 쪽(발행자)은 우체국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데이터를 받고 싶은 쪽(구독자)은 우체국에 미리 신청합니다. 발행자와 구독자는 서로를 알 필요가 없어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왜 근본적인가?: 수십억 개의 장치가 연결되는 IoT 환경에서 1:1 통신은 비효율적이고 확장이 어렵습니다. 발행/구독 모델은 이러한 대규모 비동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구조이며, 대부분의 IoT 플랫폼과 실시간 메시징 앱의 기반이 됩니다.
- 특징: 발행/구독(Publish/Subscribe) 모델을 사용합니다. 메시지 브로커를 통해 통신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가 직접 연결될 필요가 없습니다. TCP 기반으로 신뢰성이 높고, 프로토콜 자체가 매우 가벼워 저사양 기기에 적합합니다.
- 현재 활용도: 매우 높음. 페이스북 메신저, 아마존 웹 서비스(AWS) IoT 등 대규모 시스템부터 소규모 IoT 프로젝트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IoT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MEC (모바일 엣지 컴퓨팅)
데이터 처리의 '중심'을 중앙 클라우드에서 사용자와 가까운 '엣지'로 이동시킵니다.
- 개념: 모든 데이터를 멀리 떨어진 중앙 데이터 센터로 보내는 대신, 데이터가 발생하는 현장(기지국, 공유기 등)에서 즉시 처리합니다.
- 왜 근본적인가?: 물리적 거리로 인한 지연 시간(Latency)을 극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자율주행, AR/VR, 스마트 팩토리 등 초저지연이 필수적인 5G 시대의 핵심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기술입니다.
- 특징: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까지 보내지 않고 엣지에서 바로 처리하므로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성장 중). 5G 시대의 핵심 기술로, 실시간 스트리밍, 클라우드 게임, AR/VR, 스마트 팩토리 등 초저지연이 필수적인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술별 상세 설명
단거리 무선 통신 (Short-range Wireles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FC는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10cm 이내의 초근접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 특징: 통신 거리가 매우 짧아 보안성이 뛰어나며, 기기 간 설정 과정 없이 간단한 태깅만으로 연결됩니다.
- 주요 기능: P2P(기기 간 통신), 카드 에뮬레이션(교통카드, 신용카드), 리더/라이터(NFC 태그 정보 읽기/쓰기) 모드를 지원합니다.
- 현재 활용도: 매우 높음. 삼성페이/애플페이 등 모바일 결제, 교통카드, 스마트 키, 출입 통제 시스템 등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Zing (NFC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Zing은 NFC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키오스크나 결제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핵심 특징: NFC 기술 기반으로 10cm 이내 근접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 무선 통신을 제공합니다.
- 주요 기능: 키오스크나 결제 단말기에 기기를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결제 정보, 쿠폰, 멤버십 등)를 바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현재 활용도: 중간 (특수 분야). 주로 대형 마트, 편의점, 카페 등에서 NFC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활용되며, 삼성페이, 애플페이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블루투스 (Bluetooth), 피코넷 (Piconet), 스캐터넷 (Scatternet)
블루투스는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AN)을 위한 표준 기술입니다.
- 피코넷: 하나의 마스터(Master) 장치와 최대 7개의 슬레이브(Slave) 장치가 1:7로 통신하는 기본적인 블루투스 네트워크입니다.
- 스캐터넷: 여러 개의 피코넷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더 큰 규모의 네트워크입니다. 피코넷 간의 장치가 브릿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 현재 활용도: 매우 높음. 무선 이어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 주변기기 연결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BLE (Bluetooth Low Energy)
BLE는 이름 그대로 저전력에 초점을 맞춘 블루투스 기술입니다.
- 특징: 클래식 블루투스보다 훨씬 적은 전력으로 동작하여, 작은 배터리로도 수개월에서 수년간 작동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현재 활용도: 매우 높음.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등 웨어러블 기기,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각종 IoT 센서에 널리 사용됩니다.
비컨 (Beacon)
비컨은 블루투스 저전력(BLE) 기술을 기반으로 특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장치입니다.
- 핵심 특징: 스마트폰과 같은 수신 장치가 비컨의 신호를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정보(위치, 할인 쿠폰, 이벤트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전송합니다.
- 주요 기능: 정확한 실내 위치 인식, 개인화된 정보 제공, 모바일 결제 연동.
- 현재 활용도: 높음. 매장 내 고객 위치 기반 마케팅, 박물관/미술관 안내, 스마트 오피스 출입 관리, 주차장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UWB (Ultra-Wideband)
UWB는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정밀한 거리와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 특징: cm 단위의 정밀한 측위가 가능하며, 벽과 같은 장애물 투과율이 높고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빠르게 성장 중). 애플의 에어태그(AirTag), 삼성의 스마트태그+(SmartTag+)와 같은 분실물 추적기, 디지털 키, 실내 내비게이션, 정밀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서 활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애드 혹 네트워크 (Ad-hoc Network)
애드 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기반 시설(라우터, AP) 없이 모바일 노드들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임시 네트워크입니다.
- 핵심 특징: 인프라 없는 통신으로 중앙 제어 장치(AP, 기지국 등) 없이 단말기끼리 직접 통신하며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 현대 기술의 기반: 이 원리는 IoT,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V2X(차량-사물 통신), 재난 통신망 등 수많은 최신 기술에 그대로 적용됩니다.
- 주요 활용: 군사 통신, 재난 구조 통신, 센서 네트워크, 차량 간 통신(VANET) 등 특정 목적을 위한 임시 네트워크 구성에 사용됩니다.
- 현재 활용도: 중간 (특수 분야). 재난 상황이나 임시적인 모임 등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환경에서 유용하며, 현대 무선 통신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원리입니다.
지그비 (Zigbee)
지그비는 저전력, 저속, 저비용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 특징: 메시(Mesh) 네트워크를 지원하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수많은 장치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 용이합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스마트홈(조명, 스위치, 도어락), 스마트 팩토리, 빌딩 자동화 등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 및 제어 시스템에 널리 사용됩니다.
Wi-SUN (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Wi-SUN은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대규모 사물 인터넷을 위한 장거리 무선 통신 표준입니다.
- 특징: 수 km에 달하는 넓은 통신 범위를 제공하며, 저전력으로 동작하고 수천 개의 단말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활용도: 중간 (특수 분야). 주로 스마트 미터링(AMI, 원격 검침),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시티 인프라(가로등, 주차 관리) 등 공공 및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는 전기 및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하고 고도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입니다.
- 핵심 특징: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실시간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화를 극대화합니다.
- 주요 기술: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 분산 전원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성장 중). 전 세계적으로 전력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스마트 그리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IoT (Internet of Things) 통신
IoT (Internet of Things)
IoT는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전반을 의미합니다.
- 핵심 요소: 센싱(데이터 수집), 네트워킹(연결), 서비스 인터페이스(데이터 처리 및 활용)
- 현재 활용도: 매우 높음. 스마트홈, 스마트 팩토리,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되는 핵심 패러다임입니다.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은 리소스가 제한된 저사양 기기(Constrained Device)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특징: HTTP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RESTful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DP 기반으로 동작하여 MQTT보다 더 가볍고 빠르지만 신뢰성은 낮습니다. M2M(Machine-to-Machine) 통신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현재 활용도: 중간 (특수 분야). 통신 환경이 매우 열악하거나 극도의 저전력이 요구되는 특정 산업용 IoT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AllJoyn (IoT 디바이스 상호작용 프레임워크)
AllJoyn은 퀄컴이 개발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IoT 디바이스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 플랫폼입니다.
- 핵심 특징: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기기들이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고 협업할 수 있게 합니다.
- 주요 기능: 디바이스 발견, 서비스 공유, 보안 통신, 플랫폼 독립적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 현재 상황: Matter로 진화. AllJoyn의 개념은 현재 Matter(구 Thread Group) 표준으로 발전했습니다. Matter는 Apple, Google, Amazon, Samsung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통합 스마트홈 표준으로, AllJoyn보다 더 넓은 업계 지원과 표준화를 달성했습니다.
- 현재 활용도: 중간 (과도기). AllJoyn 자체는 점차 Matter로 대체되고 있으며, 새로운 IoT 프로젝트에서는 Matter 표준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네트워크 가상화 및 차세대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의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5G의 핵심 기술입니다.
- 특징: 각 '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예: 초고속 스트리밍, 초저지연 자율주행, 대규모 IoT)의 요구사항에 맞게 대역폭, 지연 시간 등을 맞춤형으로 할당받습니다.
- 현재 활용도: 높음 (성장 중). 5G 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사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도입되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문제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