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 : 인증, 권한 부여, 계정 관리

보안/신기술보안기능3A
읽는데 5분 소요
처음 쓰여진 날: 2025-10-09
마지막 수정일: 2025-10-09

요약

정보 보안의 핵심 3A 요소인 인증(Authentication), 권한 부여(Authorization), 계정 관리(Accounting)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확히 알아봅니다. 각 요소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지 실제 예시와 함께 설명하며, 정처기 실기 대비 문제도 포함합니다.

3A 비교 요약

구분인증 (Authentication)권한 부여 (Authorization)계정 관리 (Accounting)
핵심 질문당신은 누구인가?무엇을 할 수 있는가?무엇을 했는가?
목표신원 확인접근 제어활동 기록 및 책임 추적
주요 기술비밀번호, OTP, 생체 인식접근 통제 목록(ACL), RBAC, DAC, MAC로그 파일, 시스템 모니터링, SIEM
순서1단계 (가장 먼저 수행)2단계 (인증 후 수행)3단계 (접속 내내 지속)
비유공항 탑승 수속 (신분 확인)비행기 좌석 등급 (권한 확인)출입국 기록 및 면세점 구매 내역

암기 팁

어쎈 인증! 어떠한 권한 부여?

  • Authen(tication) 어쎈 인증!
  • Author(ization) 어떠한 권한 부여?

인증은 쎄고, 권한 부여는 어떻게 할까요?

3A (AAA) 란 무엇일까요?

3A 또는 AAA는 정보 보안의 핵심적인 세 가지 요소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바로 인증(Authentication), 권한 부여(Authorization), 계정 관리(Accounting) 입니다. 이 세 가지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전 과정에 걸쳐 보안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마치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는 과정과 같습니다.

  1. 인증 (Authentication): "당신이 누구인지 증명하세요." (신분증과 탑승권 확인)
  2. 권한 부여 (Authorization):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은 여기까지입니다." (비즈니스석 티켓 소지자는 비즈니스 라운지 이용 가능)
  3. 계정 관리 (Accounting): "당신이 한 모든 일을 기록합니다." (면세점 구매 내역, 출입국 기록)

이 세 가지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동하는지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A의 순차적 작동 과정

  1. Authentication (인증): 먼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합니다.
  2. Authorization (권한 부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합니다.
  3. Accounting (계정 관리): 사용자의 모든 활동을 지속적으로 기록합니다.

이 순서는 절대 바뀔 수 없으며, 각 단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증 (Authentication) - "당신은 누구십니까?"

인증은 사용자가 자신이 주장하는 신원(Identity)이 실제로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즉, "로그인" 과정 그 자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핵심 질문: "당신이 정말 'user123'이 맞나요?"
  • 목표: 시스템에 접근하려는 주체(사용자, 기기 등)의 신원을 검증합니다.
  • 정의: 접근을 시도하는 가입자 또는 단말에 대한 식별 및 검증 과정
  • 주요 방법:
    • 지식 기반 (Something you know): 비밀번호, PIN 번호
    • 소유 기반 (Something you have): OTP, 스마트카드, 공인인증서
    • 특성 기반 (Something you are): 지문, 홍채, 얼굴 인식 (생체 정보)
    • 행위 기반 (Something you do): 서명, 걸음걸이
    • 위치 기반 (Somewhere you are): 특정 IP 주소, GPS 위치

다중 인증 (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위 5가지 인증 요소 중 2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다중 인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지식)를 입력한 후 OTP(소유)를 추가로 확인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권한 부여 (Authorization) -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권한 부여는 인증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어떤 자원(파일,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근할 수 있고, 어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읽기, 쓰기, 삭제 등)를 결정하고 허용하는 과정입니다.

  • 핵심 질문: "'user123'님, 당신은 이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할 수 있나요?"
  • 목표: 인증된 사용자가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활동하도록 통제합니다.
  • 정의: 검증된 가입자나 단말에게 어떤 수준의 권한과 서비스를 허용할지 결정하는 과정
  • 주요 모델:
    • 임의적 접근 통제 (DAC): 데이터 소유자가 직접 권한을 관리합니다. (예: 리눅스 chmod)
    • 강제적 접근 통제 (MAC): 시스템이 정한 보안 등급과 규칙에 따라 접근을 강제합니다. (예: 군사 시스템)
    • 역할 기반 접근 통제 (RBAC): 사용자에게 할당된 '역할'에 따라 권한을 부여합니다. (대부분의 기업 환경)

인증 vs 권한 부여: 명확한 차이

  • 인증은 '문'을 열고 들어가는 과정입니다.
  • 권한 부여는 '문' 안으로 들어온 뒤, 특정 '방'에 들어가거나 '금고'를 열 수 있는지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즉, 인증이 선행되어야만 권한 부여가 의미를 가집니다.


계정 관리 (Accounting/Auditing) - "무엇을 하셨습니까?"

계정 관리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해서 수행한 모든 활동을 기록하고 추적하는 과정입니다. 누가, 언제, 어떤 자원에 접근하여 무슨 작업을 했는지 로그(Log)를 남겨, 문제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핵심 질문: "'user123'님, 당신은 어제 오후 3시에 어떤 파일을 삭제했나요?"
  • 목표: 사용자의 모든 활동을 기록하여 책임 추적성(Accountability)을 확보하고, 보안 감사를 지원합니다.
  • 정의: 리소스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 주요 기록 항목:
    • 접속 시간 및 로그아웃 시간
    • 접근한 IP 주소
    • 사용한 명령어 및 시스템 콜
    • 파일 접근 및 변경 이력
    • 사용한 시스템 자원 (CPU, 메모리 등)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문제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