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 IGP, EGP 종류

네트워크/OS
읽는데 7분 소요
처음 쓰여진 날: 2025-08-25
마지막 수정일: 2025-08-25

요약

네트워크 계층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어요.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의 차이점,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과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의 구분, 자율 시스템(AS) 개념을 바탕으로 RIP, OSPF, BGP의 특징과 알고리즘을 상세히 다루고 있는 글이에요.

  1. 네트워크 계층(OSI 3계층)에서 시작하여

    네트워크 계층(OSI 3계층)에서 시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OSI 3계층)에서 시작
  2. 라우팅 프로토콜이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으로 분류되고

    라우팅 프로토콜이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으로 분류되고
    라우팅 프로토콜 = 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3. 동적 라우팅이 다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과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로 나뉘며

    동적 라우팅이 다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과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로 나뉘며
    동적 라우팅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
  4. IGP에는 RIP과 OSPF가 포함되고,

    IGP에는 RIP과 OSPF가 포함되고
    IGP ⊂ RIP + OSPF
  5. EGP에는 BGP가 포함된다.

    EGP에는 BGP가 포함된다.
    EGP ⊃ BGP

라우팅 프로토콜 요약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핵심 키워드
정적 라우팅고정된 경로 사용
동적 라우팅동적으로 경로 변경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같은 네트워크 내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다른 네트워크 간
RIP홉(hop) 수 사용
OSPF경로 비용 사용, 링크 상태 알고리즘, AS를 지역으로 나눔
BGP경로 벡터 알고리즘 사용, 초기 전체 라우팅 테이블 교환

라우팅

라우팅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정적 라우팅 vs 동적 라우팅

  • 정적 라우팅 - 라우터 설정 시 미리 경로를 정의하고 고정된 경로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동적 라우팅 - 라우터 설정 시 경로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동적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방식이다.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 vs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 - 다른 네트워크 간에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의 구분 기준

자율 시스템(AS, Autonomous System)

가장 중요한 구분 기준은 자율 시스템(AS) 이다.

  • 같은 네트워크 (같은 AS): 하나의 조직이나 기관이 관리하는 네트워크 영역
  • 다른 네트워크 (다른 AS): 서로 다른 조직이나 기관이 관리하는 네트워크 영역

관리 주체 기준

  • 같은 네트워크: 동일한 네트워크 관리자나 조직이 제어하는 영역
  • 다른 네트워크: 서로 다른 관리 주체가 운영하는 네트워크

구체적인 예시

같은 네트워크 (IGP 사용)

  • 한 회사 내부의 여러 부서 네트워크
  • 대학교 캠퍼스 내의 각 건물별 네트워크

다른 네트워크 (EGP 사용)

  • KT와 SKT 같은 서로 다른 통신사 네트워크
  • 한국과 미국의 인터넷 연결
  • 서로 다른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간 연결

AS 번호로 구분

각 자율 시스템은 고유한 AS 번호를 가진다:

  • AS 1 ~ AS 65535: 공인 AS 번호
  • 예: KT(AS 4766), SKT(AS 9318), 구글(AS 15169)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거리 벡터 알고리즘 - 벨만-포드 알고리즘 사용
  • 각 라우터가 인접 라우터로부터 거리 정보를 받아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 홉 카운트를 기준으로 최대 15홉까지 지원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링크 상태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사용
  • 각 라우터가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파악한 후 최단 경로 계산
  •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며 빠른 수렴 특성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EGP)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경로 벡터 알고리즘 사용
  • 목적지까지의 전체 AS 경로 정보를 교환
  • 인터넷 백본에서 사용되는 핵심 프로토콜

라우팅 알고리즘 비교

거리 벡터 vs 링크 상태 vs 경로 벡터

구분거리 벡터링크 상태경로 벡터
대표 프로토콜RIPOSPFBGP
최단 경로 계산홉 수 사용경로 비용 사용경로 벡터 사용
교환 정보거리(홉 수)전체 토폴로지전체 경로
알고리즘벨만-포드다익스트라경로 벡터
사용 범위소규모 네트워크대규모 네트워크AS 간 연결

정처기 실기 기출 문제

기출 문제 1

기출
문제
RI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라우터 A에서 F까지 어떤 경로를 거쳐야 최단 경로로 갈 수 있는 지 순서를 쓰시오. A -> ( )
답변
정답정답 보기

기출 문제 2

기출
문제
[보기]에서 골라 빈 칸을 채우시오. [보기]: EGP, IGRP, BGP, IGP, OSPF, BCP, RIP 라우팅 프로토콜은 범위에 따라 ( 1 ), ( 2 ) 가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범위는 AS에 따라 나뉘는데, AS는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라우터들의 집합을 말한다. 하나의 AS에 속한다는 것은 하나의 도메인에 속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 1 )은 동일한 AS 내의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대표적으로 RIP와 ( 3 )이 있다. ( 3 )은 변화가 있을 때만 상태를 주고받는 링크 상태의 프로토콜이며 AS를 지역으로 나누어 라우팅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2 )는 서로 다른 AS 간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대표적으로 ( 4 )가 있다. 초기에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 교환하는 방식이다.
답변
정답정답 보기

정처기 실기 대비 문제

문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인 RIP는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나요?
답변
정답정답 보기
문제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는 최단 경로를 계산할 때 무엇을 사용하나요?
답변
정답정답 보기
문제
초기 전체 AS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무엇인가요?
답변
정답정답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