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전송 방식: 패킷 교환 vs 서킷 교환

네트워크/OS네트워크 7계층
읽는데 3분 소요
처음 쓰여진 날: 2025-10-03
마지막 수정일: 2025-10-03

요약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인 패킷 교환과 서킷 교환의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방식, 그리고 비연결형과 연결형 통신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합니다.

용어키워드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논리적인 통신 경로를 미리 설정, 연결형 교환 방식, 목적지와 미리 연결
데이터그램 (Datagram)비연결형 교환 방식,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 헤더를 붙여 개별 전달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전송단위는 패킷, 네트워크 계층에서 처리, 회선 효율성 높음
서킷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전송단위는 비트 스트림, 전용 회선 설정, 일정한 대역폭 보장

다이어그램을 로드하는 중...

  • 네트워크(3계층이 아닌 전체를 지칭함) 전달 방식에는 2가지가 존재한다.
  • 패킷 교환 방식: 전송단위는 패킷
  • 서킷 교환 방식: 전송단위는 연속적인 비트 스트림

서킷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 전송 단위: 연속적인 비트 스트림
  • 연결 방식: 통신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전용 회선을 설정
  • 동작 계층: 물리 계층(1계층-비트 단위)과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프레임 단위)에서 회선을 설정하고 관리
  • 특징: 한번 회선이 설정되면 통신이 끝날 때까지 해당 회선을 독점적으로 사용
  • 장점: 일정한 대역폭 보장, 지연 시간 예측 가능
  • 단점: 회선 이용률이 낮을 수 있음, 설정 시간 필요
  • 예시: 전통적인 전화 시스템 (PSTN)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 전송 단위: 패킷
  • 연결 방식: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각각 독립적으로 전송
  • 동작 계층: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패킷을 처리하고 라우팅
  • 특징: 각 패킷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
  • 장점: 회선 효율성 높음, 다중 사용자 지원
  • 단점: 패킷 손실 가능성, 지연 시간 변동

데이터그램 방식

  • 독립적인 패킷을 헤더와 함께 전송하는 방식
  • 비연결형 교환 방식

가상회선 방식

  • 논리적인 회선을 설정하고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연결형 교환 방식

비연결형 vs 연결형 비교

구분비연결형 (데이터그램)연결형 (가상회선)
연결 설정불필요필요
패킷 독립성독립적종속적
경로 결정패킷마다 다름고정 경로
순서 보장보장 안됨보장됨
대표 프로토콜IP, UDPATM, X.25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문제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