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chmod 명령어 사용법 (8진수 권한 설정)

네트워크/OSshell scriptchmod
읽는데 2분 소요
처음 쓰여진 날: 2025-10-13
마지막 수정일: 2025-10-13

요약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 자주 나오는 리눅스 chmod 명령어의 8진수(Octal) 표기법을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토리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제와 함께 알아봅니다.

chmod 명령어란?

chmod는 'change mode'의 약자로,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서는 특정 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8진수(Octal) 숫자로 표현하여 명령어를 완성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접근 권한의 종류와 대상

chmod를 이해하려면 먼저 권한의 종류와 누구에게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권한의 종류

권한기호설명8진수 값
읽기r파일 내용을 읽거나, 디렉토리 목록을 볼 수 있음4
쓰기w파일 내용을 수정/삭제하거나, 디렉토리 내 파일 생성/삭제2
실행x파일을 실행하거나, 디렉토리로 접근(cd)할 수 있음1

권한의 대상

대상기호설명
사용자u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user)
그룹g파일이 속한 그룹 (group)
기타o그 외 모든 사용자 (others)

8진수(Octal)로 권한 설정하기

chmod 명령어의 핵심은 8진수 표기법입니다. 각 권한(r, w, x)에 할당된 숫자 값을 더하여 권한 조합을 만듭니다.

  • r (읽기) = 4
  • w (쓰기) = 2
  • x (실행) = 1

예를 들어, 읽고 쓸 수 있는 권한(rw-)은 4 + 2 = 6이 됩니다.

8진수권한 조합 (rwx)설명
7rwx(4+2+1)읽기, 쓰기, 실행 모두 가능
6rw-(4+2)읽기, 쓰기 가능
5r-x(4+1)읽기, 실행 가능
4r--(4)읽기만 가능
3-wx(2+1)쓰기, 실행 가능
2-w-(2)쓰기만 가능
1--x(1)실행만 가능
0---(0)아무 권한 없음

명령어는 chmod [사용자권한][그룹권한][기타권한] [파일명]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chmod 754 file.txt는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 사용자(7): rwx (읽기+쓰기+실행)
  • 그룹(5): r-x (읽기+실행)
  • 기타(4): r-- (읽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문제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

문제를 불러오는 중...